Post
문제를 해결하며 얻은 경험들을 담은 공간입니다
최신순
대용량 엑셀 파일을 브라우저에서 처리하기
FRONTEND2024. 12. 12.
대용량 엑셀 파일을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처리하여 서버 부하를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xlsx 라이브러리와 jszip을 활용한 파일 분석 과정과 성능 테스트를 통해, 현대 브라우저에서의 안정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 가능성을 살펴봅니다.
388
Cannot GET phpMyAdmin.scripts.setup.php : Nginx에서 스팸 봇 차단하기
NGINX2024. 5. 7.
새벽에 phpMyAdmin, websql 키워드로 서버에 접근하려는 흔적을 발견하여 이를 대처한 방법을 기록하였습니다. Nginx를 사용하여 웹 서버에서 스팸 봇과 해킹 툴의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서버 IP 경로 차단, User-Agent 기반 차단, AWS 보안 규칙 설정, 리버스 프록시 설정 및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필터링 방법을 다룹니다.
434
useState 동작 원리와 클로저
REACT2024. 2. 14.
react에선 어떻게 상태를 관리하고 있는지 useState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파악해 보았습니다.
2689
Hydration Error : Minified React Error 해결하기
NEXTJS2023. 11. 9.
Next.js에서 익숙치 않은 Hydrate 환경에서 데이터를 다루다보면 한 번쯤은 맞닥뜨리는 Minified React Error를 해결해보았습니다.
4868
Loading Chunk Failed : 청크 로드 에러 해결하기
REACT2023. 9. 15.
개인적으로 정말 성가시다 생각하는 Chunk Load Error. 인턴 도중 갑자기 발생한 ChunkLoadError를 파악해보았습니다.
12768
쌩 npm으로 MFE 구축하기 (1) : 개념
FRONTEND2023. 7. 5.
모노레포? MFE? MFA? 그게 도대체 뭘까요? 모던 프론트엔드 프로젝트 구성 방법을 차근차근 짚어봤습니다.
1925
함수 타입 선언하기
TYPESCRIPT2023. 6. 27.
타입스크립트에서 함수 타입을 선언할 때 헷갈렸던 부분을 기록했습니다.
1128